우리 주변에서 숫자를 세거나 계산할 때 가증 흔히 사용하는 방식은 10진법입니다. 1부터 9까지 숫자를 쓰고, 10이 되면 자릿수가 올라가는 방식이죠. 그런데, 왜 하필 10진법일까요? 그리고 다른 진법은 없을까요?
손가락이 10개라서?
가장 유력한 이윤ㄴ 바로 손가락이 10개라는 점입니다.
고대 인류는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이용해 숫자를 세기 시작했고, 결국 10을 기준으로 하는 숫자 체계가 발전했습니다. 만약 손가락이 8개였다면, 우리는 8진법을 사용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모든 문명이 10진법을 쓴 것은 아닙니다. 다양한 진법이 존재했죠.
역사 속 다양한 진법
60진법(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 문명에서는 60진법을 사용했습니다. 덕분에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60초=1분, 60분=1시간)과 각도(360)가 남아있죠.
20진법(마야 문명)
마야인들은 손가락뿐만 아니라 발가락까지 포함해 20진법을 사용했습니다. 그 덕분에 아주 큰 숫자를 다루는 데 능속했어요.
2진법(컴퓨터 세계)
현대의 컴퓨터는 2진법 (0과 1)으로 작동합니다. 전기가 흐르면 1, 흐르지 않으면 0으로 표현할 수 있어 전자회로에서 효율적이죠.
8진법 & 16진법(프로그래밍에서 사용)
컴퓨터 과학에서 8진법과 16진법도 사용됩니다. 특히 16진법은 RGB색상 코드나 메모리 주소에서 많이 쓰이죠.
진법은 바꿀 수 있을까?
만약 인류가 12진법을 썼다면, 1년(12개월), 하루(24시간)처럼 더 직관적인 숫자 체계를 가질 수도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10진법이 전 세게 적으로 굳어져 있어서 바꾸기는 쉽지 않겠죠.
하지만, 우리 주변에는 여전히 다양한 진법이 남아 있습니다. 시계를 볼 때, 컴퓨터를 사용할 때, 또는 역사적인 유물 속에서도요!
'세상의 모든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오는 날 도로에서 나는 특유읙 냄새, 그 정체는? (1) | 2025.03.18 |
---|---|
왜 우리는 꿈을 잊어버릴까? 꿈을 기억하는 꿀팁! (2) | 2025.03.17 |
평행우주가 정말 존재할까? 과학이 바라보는 다중우주 이론 (1) | 2025.03.15 |
눈이 내리면 세상이 조용해지는 과학적 이유 (3) | 2025.03.14 |
콜라를 마시면 이가 녹을까? 진실은?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