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뉴스에서 자주 듣게 되는 단어, 불쾌지수!
단순히 기분 나쁠 정도로 더운 날씨라는 뜻일까요? 사실 이건 기온과 습도를 조합해 사람의 체감 쾌적도를 수치로 표현한 지수 입니다.
1. 불쾌지수란?
불쾌지수는 기온과 상대습도를 조합해 계산합니다.
대표적인 공식은 이렇습니다.
불쾌지수 = 0.81 × 기온 + 0.01 × 습도 × (0.99 × 기온 – 14.3) + 46.3
쉽게 말해, 덥고 습할수록 높아지며, 80을 넘으면 대부분이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보통 기준은 다음과 같죠
70 이하: 대부분 쾌적
75~79: 약간 불쾌감을 느끼는 사람있음
80~84: 50% 이상이 불쾌함
85이상: 거의 모두 불쾌함
2. 그런데 왜 사람마다 다르게 느껴질까?
같은 날 같은 장소인데도 누군가는 괜찮고 누간가는 더워죽겠다고 합니다.
이유는 여러가지!
개인차: 체질, 땀 배출 능력, 신진대사 속도 등에 따라 더위에 더 민감한 사람이 있습니다.
의복 차이, 활동량
심리 상태: 피곤하거나 스트레스가 쌓인 날엔 기온 1도가 더 짜증 나게 느껴질 수 있죠.
3. 불쾌지수, 꼭 여름에만 중요할까?
놀랍게도 겨울 실내 난방 환경에서도 불쾌지수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너무 건조하거나 공기가 탁하면 겨울인데도 불쾌함을 느끼죠.
쾌적한 온습도 조절이 4계절 내내 중요한 이유입니다.
불쾌지수는 단순한 날씨 정보가 아닌, 사람의 감정과 행동까지 예측할 수 있는 심리-기후 지표 입니다.
덥다고 다 같이 짜증 내는 게 아니란 말이죠.
그러니 여름철 서로 짜증날 땐, 날씨 탓
을 잠깐 내려두고 물 한잔 먼저 마셔보시는 건 어떨까요?
'세상의 모든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오기 전에 무릎이 쑤신다? 정말 날씨 탓일까? (0) | 2025.05.05 |
---|---|
전자레인지는 왜 금속을 넣으면 안 될까? - 불꽃 튀는 과학의 비밀 (0) | 2025.05.03 |
"시간이 쏜쌀같이 간다" - 진짜 나이 탓일까? (0) | 2025.05.01 |
웃음은 왜 옆 사람에게 전염될까? - 감정 감염의 과학적 이유 (0) | 2025.04.30 |
구름은 얼마나 무거울까? 하늘에 떠 있는 거대한 무게의 비밀 (0) | 2025.04.29 |